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후동행 카드 서울시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

by 가이아365 2023. 9. 13.
반응형

 

 

월 6만 5,000원으로 서울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가 나옵니다. 서울시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고물가 시대 가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하여 무제한 정기 이용권을 도입하기로 했는데요, 교통카드 하나로 서울 시내 지하철/마을버스/공공자전거 따릉이까지 무제한 이용할 수 있으며 내년 1~5월 시범 운영과 보완을 거쳐 내년 하반기부터 시행할 예정입니다. 관련 내용 확인하시고 내년에 '기후동행카드'를 신청하시어 혜택받으시길 바랍니다.

 

기후동행카드
기후동행카드

 

기후동행카드 시행 알아보기

 

◇ 서울에도 독일의 49유로 티켓과 같은 '대중교통 무제한 정기 이용권'이 나온다. 서울시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고물가 시대 가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무제한 정기 이용권을 도입, 내년 1~5월 시범운영과 보안을 거쳐 내년 하반기부터 본격 시행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월 6만5천원'쩌리 교통카드 하나로 서울 시내 지하철, 시내 · 마을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까지 원스톱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시는 기후동행카드를 통해 코로나 19로 줄어든 대중교통 수단분담률을 끌어올리고, 기후위기 대응의 단초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

 

`월 6만5천원 무제한` 친환경 교통혁신 기후동행카드 내놓는다

서울에도 독일의 49유로 티켓(D-Ticket)과 같은 ‘대중교통 무제한 정기 이용권’이 나온다. 서울시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고물가 시대 가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무제한 정기 이용권을 도입, 내

news.seoul.go.kr

 

◇시는 <기후동행카드> 도입으로 연간 1만3천 대 가량의 승용차 이용이 감소, 연 3만 2천 톤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약 50만 명의 시민이 1인 당 연간 34만 원 이상의 할인 혜택(따릉이 포함)을 받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주중 승용차로 출·퇴근하거나 주말에 승용차를 이용하던 사람이 '대중교통'으로 수단을 전환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한다.

온실가스-감소효과
온실가스 감소효과

 

 

 

구매 및 이용구간

◇ 시민 이용 편의를 위해 실물 카드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앱으로도 이용할 수 있으며, 실물 카드는 최초에 3천원으로 카드를 구매한 뒤에 매월 6만 5천 원을 충전하여 이용하면 된다.

 

◇ 서울 시내에서 승·하차하는 지하철 1~9호선을 비롯해 경의·중앙선, 분당선, 경춘선, 우이신설선, 신림선까지 모두이용(기본요금 상이한 신분당선 제외)할 수 있다.

  • 서울에서 승차해 경기·인천 등 다른 지역에서 '하차'하는 경우에는 이용 가능하지만 서울이 아닌 지역에서 승차하는 경우엔 기후동행카드 이용이 불가능 하다. 

◇ 버스의 경우, 서울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는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경기·인천 등 타 지역 버스나 기본요금이 상이한 광역버스는 서울지역 내라도 이용할 수 없다. 

  • 서울과 타 지역 버스를 구분하는 기준은 '노선 면허'를 얻은 지역을 중심으로 하며, 각 버스 노선번호를 검색하면 해당 면허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서울시 시내버스·지하철 노선번호 검색 바로가기 

서울특별시-버스정보
서울특별시 버스정보

◇ 공공자전거 따릉이는 '1시간 이용권'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으며, 시는 향후 리버버스등 새롭게 추가되는 차세대 친환경 교통수단까지 확대 운영 및 100인 이상 기업에서 '기후동행카드'를 구매하여 임직원에게 배부할 경우에 교통유발부담금 감면 등 추가적인 혜택을 부여하는 방안도 검토, 강력한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정책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가계부담 절감

물가 · 에너지 비용이 큰 폭으로 오른 데다 버스 요금에 이어 지하철 요금 인상도 예정되어 있어 시민이 체감하는 가계 부담은 앞으로 더욱 커질 것으로 보고 시는 요금 부담을 절감하는 효과를 주면서도 지속가능한 제도인 '기후동행카드'를 추진, 대중교통수단을 많은 시민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할 것이며 정식으로 카드가 출시되면 서울시민들에게 교통비 부담완화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